서효행 명궁, 국궁인생 36년!
한국의 최고 여궁사로 불러도 손색이 없다. 아니 세계 최고라고 말하고 싶은 심정이다. 한국의 양궁이 단기간에 세계를 주름잡는 것을 보아도 한국의 여성들은 남다른 재주가 있다.
◀ 서효행 명궁(63세, 금산 흥관정), 7월 2일 대천해수욕장 개장 기념 충남대회에서
그러나 그러한 화려함의 뒤에는 긴 생명력을 담보하지 못하고 막을 내리는 경우가 대다수 일 것이다.
세계를 주름잡는 한국의 여자 양궁 선수들을 비롯한 대부분의 여자 운동 선수들의 현역 활동은 매우 짧은 기간으로 쉽게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지지만 국궁을 즐기는 여궁사들은 긴 생명력을 담보하여 그것을 삶의 한 부분으로 각인하여 잔잔한 감동이 스며들게 하곤 한다.
서효행 명궁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서효행 명궁은 1966년 당시 27세의 젊은 나이로 충남의 명문 사정인 공주 관풍정에서 집궁을 하였으며, 현재는 고인이 되신 박병일 사범의 지도로 사법과 궁예를 익히기 시작하였다.
[▲지난 7월 2일 개최된 충남 협회장기 대회의 정순경기 모습]
공주 관풍정에서의 집궁을 시작으로 이듬해인 1967년 금산 흥관정으로 이적하였으며, 이 곳에서 여무사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부터 서효행 명궁은 여궁사로서 남달리 뛰어난 기량으로 선보이며 전국의 사계에 이름을 크게 각인하는 등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의 화려한 기록을 만들어내며 전국 사계에서 주목받는 인물로 화제에 오르곤 하였다.
서효행 명궁이 전국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것은 1970년도 부터이다. 10월에 개최된 백제문화제 전국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모두 61번의 정상에 서는 엄청난 연승가도를 달렸다. 76년 11월에는 초단에 입단하였다.
▶ 연도별 입승단 현황
- 1976년 11월 입단
- 1985년 05월 2단 승단
- 1985년 10월 3단 승단
- 1986년 06월 4단 승단
- 1987년 05단 승단 (명궁)
- 1994년 05월 12일 6단에 승단(여무사로는 최초)
- 1996년 06월 12일 연5 몰기패 수상(당진 학유정)
또한 집궁 21년째인 1987년에 5단에 승단하여 명궁제도 도입이후 25번째로 명궁(대한궁도협회에 등록된 명궁은 2002년 현재 264명이다)의 반열에 올라 궁술의 실력이 여느 남자들 못지 않는 최고의 경지를 향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변의 사우들을 놀라게 하였다.
94년 5월에는 여무사로는 최초로 6단에 승단했다.
1989년과 1991년에 개최된 세계 한민족 체육대회에는 여성대표로 참가하여 전통 활쏘기를 시연, 박수 갈채를 받는 영광을 기쁨을 누리기도 하였으며, 궁도의 발전을 위해 1983년부터 96년에 이르는 13년간 전국 여궁사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사회 활동 또한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였다.
95년에 개최된 제 75회 전국체전에 대전시 대표로 '궁도경기 부문'에 출전하여 궁도부문 최초의 전국대회 여자 선수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연이어 제76회 전국체전에서는 충남 대표로 전국체전에 출전하기도 하는 뛰어난 궁력을 선보였다.
[강건한 만개궁체]
서효행 명궁의 궁체를 자세히 살펴보면 전형적인 충청권역의 사법이다. 가장 큰 특징은 깍지손의 하삼지를 이용하여 어깨에 붙이는 방식으로 매 발시마다 깍지손의 흐트러짐이 없이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법은 근래에도 충청권역을 비롯하여 많은 선수들이 구현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거궁의 위치를 높혀 화살을 높은 위치에서 당겨야 한다. 화살은 입가나 혹은 얼굴 광대뼈 정도에 위치한다.
[서효행 명궁의 이시후 모습]
기록에서 보여지는 화려함보다는 활을 쏠 수 있는 활쏘기 그 자체의 기쁨이 무엇보다도 소중하게 생각한다고 말하는 서효행 명궁의 표정에서 정상의 겸손함을 엿볼 수 있었다.
후회없는 국궁 인생으로 뒤덮힌 서효행 (63세)명궁의 긴 여정의 끝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 1970년도 전국대회 우승 기록
- 1970년 10월 부여 백제문화제 전국대회 우승
- 1971년 10월 금산 치백의사총 전국대회 우승
- 1972년 10월 공주 백제문화제 전국대회 우승
- 1973년 05월 남원 춘향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74년 05월 김제 홍심정 전국대회 우승
- 1975년 09월 서울 석호정 전국대회 우승
- 1977년 05월 군산 진남정 전국대회 우승
- 1977년 05월 대한궁도협회 전국 선수권대회 우승
- 1977년 09월 임실 군자정 전국대회 우승
- 1978년 04월 고흥 봉황정 전국대회 우승
- 1978년 05월 여수 진남제 전국대회 우승
- 1978년 05월 강경 덕유정 전국대회 우승
- 1979년 10월 경주 신라문화제 전국대회 우승
▶ 1980년도 전국대회 우승 기록
- 1980년 05월 남원 춘향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82년 05월 광주 관덕정 전국대회우승
- 1983년 04월 서울 석호정 전국대회 우승
- 1983년 05월 남원 춘향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84년 06월 대구 관덕정 전국대회 우승
- 1984년 07월 인천 무덕정 전국대회 우승
- 1984년 09월 대전 대덕정 전국대회 우승
- 1985년 05월 여수 진남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85년 09월 황등 건덕정 체육부장관기대회 우승
- 1985년 09월 인천 상륙작전기념 전국대회 우승
- 1986년 04월 구례 곡우제기념 전국대회 우승
- 1986년 05월 광주 관덕정 전국대회 우승
- 1986년 09월 인천 상륙작전기념전국대회 우승
- 1987년 04월 합천 통일기원 전국대회 우승
- 1987년 05월 마산 용마천 전국대회 우승
- 1988년 05월 여수 진남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89년 07월 인천 무덕정 전국대회 우승
- 1989년 10월 공주 백제문화제전국대회 우승
- 1989년 10월 순천 환성정 전국대회 우승
▶ 1990년도 전국대회 우승 기록
- 1990년 05월 여수 진남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90년 10월 경주 신라문화제 전국대회우승
- 1992년 04월 온양 충무공탄신기념전국대회 우승
- 1992년 05월 남원 춘향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92년 10월 경주 신라문화제 전국대회 우승
- 1992년 10월 부여 백제문화제 전국대회 우승
- 1993년 10월 공주 백제문화제 전국대회 우승
- 1994년 09월 인천 상륙작전기념전국대회우승
- 1994년 10월 대구 팔공정 전국대회 우승
- 1994년 10월 경주 신라문화제 전국대회 우승
- 1995년 04월 구례 곡우제기념 전국대회 우승
- 1995년 05월 고양 행주대첩 전국대회 우승
- 1995년 05월 남원 춘향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96년 04월 온양 이충무공탄신기념대회 우승
- 1996년 09월 금산 인삼제전 전국대회 우승
- 1996년 10월 대구 관덕정 전국대회 우승
- 1996년 10월 경주 신라문화제 전국대회 3연패 우승
- 1996년 10월 부여 백제문화제 전국대회 우승
- 1997년 05월 대한궁도협회 선수권대회 우승
- 1997년 06월 거제 전국대회 우승
- 1998년 04월 의령 홍의정 전국대회 우승
- 1999년 03월 고양 행주산성전국대회 우승
- 1999년 04월 온양 이충무공탄신기념대회 우승
- 1999년 04월 대한궁도협회 선수권대회 우승
- 1999년 06월 양구 양록정 전국대회 우승
▶ 진행중인 21세기의 수상경력
- 2000년 10월 부여 백제문화제전국대회 우승
- 2001년 04월 대한궁도협회 종합 선수권 대회 우승
- 2001년 08월 통영 열무정 전국대회 우승
- 2002년 03월 제주 서귀포 전국대회 우승
취재 : 청강 한영국 접장(강경 덕유정)
국궁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