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활량-한량. 閑良

기사승인 21-02-26 21:46

공유
default_news_ad1

한량들이 추구한 이상과 덕목은?

활량-한량. 閑良
한량들이 추구한 이상과 덕목은?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한량이란 돈 잘 쓰고 잘 노는 사람이고, 활터에서는 활쏘는 사람을 일컫는다. 사회적으로 돈이나 시간에 여유가 있어 술과 노래, 춤 등을 익히고 풍류를 즐기는 할 일 없는 사람을 이르기도 한다. 취미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의 동수저 수준 이상은 되겠다. 한량 이미지는 좋게 보면 풍류를 아는 한국 신사紳士지만, 한편으로는 할 일 없이 먹고 노는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면도 있다. 이런 한량의 사회적 이미지를 감안하여 한량의 역사적인 의미는 어떠했으며 한량의 활쏘기가 우리 생활에 어떻게 비쳐졌는지, 끝에 가서 선대先代 한량들이 추구했던 이상과 덕목은 무엇이었던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한량이란 말은 고려 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여 시대가 흐르며 의미가 바뀌어 왔다. 고려 말기와 조선 초기에 걸쳐 한량이라 불리는 사회 계층은, 벼슬아치로 임명되었으나 하는 일과 역할이 없는 무직사관無職事官과 무역사족자제無役士族子弟를 가리킨다. 『태조실록』에 .... “대소신료한량기로군大小臣僚閑良耆老軍 크고 작은 신하와 관료들과 한량, 그리고 노인들이 국보를 받들고 태조의 저택으로 와 뵈었는데”라는 기록으로 보면 한량은 온 백성의 뜻을 나타내기 위한 한 계층이 된다. 당시 사회에서 일정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조선 후기에 와서는 아직 무과에 급제及第하지 못한 호반虎班(무관武官의 반열)이나 아직 임관하지 못한 무인武人을 일컫었다. 활은 군사 주무기로서 활쏘기를 중시하는 문화는 시대가 바뀌어도 변하지 않아 무과 후보생들의 활쏘기 연습이나 사냥을 다니는 것이 ‘하릴 없이 놀고 먹으며 놀러 다니는’ 모습으로 비쳐 나중에는 한량이란 말이 일반적으로 활을 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굳어진 것이다. ‘활량’이란 낱말은 한량이 변한말로 국어사전에 올라 있다.

 한량과 관련된 속담과 관용어를 알아본다. 오랫동안 활쏘기가 백성들 사이에 전해져 내려오며 활쏘기가 자연스럽게 일상으로 스며들어 속담과 활터 용어가 생겨 정착된 것들이다.
 “병조판서 집 활량 나그네 드나들듯 한다.” ‘병조 판서의 집에 취직 부탁을 하러 오는 활량이 드나들듯 한다’는 뜻
 “돈 있으면 활량, 돈 못쓰면 건달” ‘돈이 없으면 적막강산이요 돈이 있으면 금수강산이라’ 경제적으로 넉넉하여야 삶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우박 맞은 잿더미 같고 활량의 사포 같다.” ‘숭숭 구멍이 뚫렸다는 뜻으로, 얼굴이 심하게 얽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사포는 유리琉璃종이로 튼튼한 종이나 천에 아교로 유리 가루를 발라 만들었는데 각궁 관리에 필요하다.
 “시수 날 때 탈 나고, 탈 났을 때 배운다.” 한량들이 하는 말인데 ‘시수가 잘 난다고 자만하지 말고 늘 겸손한 마음으로 기본자세를 잘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로 탈난 궁체를 바로잡는 일은 재주만 고치는 일에 그치지 않고 마음을 닦는 수양이 된다는 뜻이다.

김홍도의 行旅風俗圖(하단우측 각궁 멘 한량) 

 “한량대(지화자대)” 마지막 5시를 지화자대라고 한다. 한 순 중 마지막 5시를 가리키는 말. 이 5시는 옛부터 한량들이 중요하게 여겨서 한량대 라고도 불렀는데, 4시까지 불不이어도 마지막 대를 맞추면 기생들이 '지화자 좋다'를 불러서 축하했다. 원래 지화자는 5시5중을 해야 부르는 것인데, 5시만 맞추어도 지화자 좋다를 불렀다고 한다. 그것은 한량들이 마지막 대를 귀하게 여기는 풍속 때문이다. 한량대는 지화자대와 같은 말이다. 그래서 요새도 마지막 대에는 사회자가 '지화자대 모두 맞추세요' 또는 '한량대 모두 맞추세요'라고 한다.

 “꿀내기” ‘활쏘기를 하여 진 사람이 이긴 사람에게 머리 숙여 절을 하며 즐겼던 조선시대의 민속놀이’로 한량들이 번갈아 한 번씩 활을 쏘아서 맞히지 못한 사람은 꿇어앉고 맞히면 일어서기를 되풀이해서, 다섯 대째를 먼저 맞힌 사람을 향하여 못 맞힌 사람이 대臺 아래로 내려가 “한량 고두叩頭하오”(고두 : 머리를 조아려 경의를 나타냄) 하고 고개를 숙여 예를 올렸는데, 이것을 꿀내기라 하였다.
 “시수矢數꾼” 일획一獲 50시에서 30시 이상을 맞추는 한량. 일획은 10순 50시를 쏘는 것 
 “여자 한량” 여무사女武士 
 “궁척弓尺” 신라 때에 활을 쏘는 일을 맡아 하던 군사
 “활쟁이”로 북한에서 한량을 이르는 말(비물질유산목록) 
 “장족한량獐足閑良” 장족-쇠로 노루발 같이 끝이 갈라지게 만든것-을 가지고 과녁에 박힌 살을 뽑는 사람. 일명 노루발 한량이라고도 한다.
 “무겁한량閑良” 무겁-화살이 떨어지는 자리-에서 적중여부를 검사하는 임무를 맡은 한량. 오늘날 과녁심판
 “거기한량擧旗閑良” 편사에서 살이 맞으면 기를 들어 올리는 한량
 “행수行首” 한량을 영솔하는 사람
 “사말射末” 활터에서 한량이 자기를 낮추어 부르는 말
 “접장接長” 활터에서 한량을 좋게 대접해주려고 할 때 쓰는 말로, 몰기를 한 사람을 이른다. 덕유정과 같이 일부 정에서는 부사두를 이른다.
 “선사善射” 빼어난 활솜씨를 일컫는다. 선사는 ‘어진 한량’을 말한다. 좋은 글을 일러 선필善筆이라 하는 것과 같다.

 이렇게 시대를 관통하며 사회적으로 한 계층을 이루던 한량들이 추구하던 이상과 덕목은 무엇이었을까.
 “활쏘기는 군자의 덕목 중의 하나로 군자는 남과 경쟁하지 않으나 활쏘기에서만은 그렇지 않다. 어짊仁을 행한다는 것은 활쏘기 경기를 하는 것과 같다. ‘내 탓이오’를 실행 할 수 있는 사람은 덕 있는 사람이다. 덕을 살피는 관덕이란 활쏘기의 다른 이름이다.” 이 말은 다음 글에서 비롯한 것이다.
 『논어(論語)』의 팔일(八佾)에서 “공자께서 말씀 하시기를 군자는 남과 경쟁하지 않으나 활쏘기에서만은 그렇지 않다. 양보하면서 인사하고 당에 오르고, 당에서 내려와서 술 마시니 그 다툼이 군자답다. 자왈 군자무소쟁 필야사호 읍양이승 하이음 기쟁야군자(子曰 君子無所爭 必也射乎 揖讓而升 下而飮 其爭也君子)”라는 글에서 보면 ‘군자는 활쏘기에서만은 시수矢數로 다투어야 한다’고 했다.

 한량의 덕목에 맹자의 타이름이 있다. “어짊仁을 행한다는 것은 활쏘기 경기를 하는 것과 같다. 인자여사仁者如射”고 말하면서, “자기 마음과 몸의 자세를 바르게 한 뒤에 화살을 내보내는데, 그것이 맞지 않더라도 나를 이긴 사람을 원망하지 않으며 화살을 맞추지 못한 원인을 반성하여 스스로에게 구할 뿐이다. 정기이후발 발이부중 불원승기자 반구제게이의 正己而後發 發而不中 不怨勝己者 反求諸己而矣”했다. 요컨대 곧 “내 탓이오. 반구제기反求諸己”란 말인데, “내 탓이오”를 실행 할 수 있는 사람은 덕 있는 사람이다. 그래서 ”활쏘기는 군자의 태도와 유사하다. 사유이호군자 射有以乎君子“했고, 이어서 공자의 『예기』 사의射儀편에 ”활쏘기로 큰 덕을 살핀다. 사자소이 관성덕야 射者所以 觀盛德也“ 나온 대로, “덕을 살피는 관덕이란 말이 활쏘기의 다른 이름이 되었다. 사이관덕射而觀德.” 


〔북한 관덕정(개성으로 추정) 한량. 1950년대 초중반〕

 이상과 같이 우리 조상들이 활을 쏘며 정신적으로 추구하던 이상理想은 전국의 활터 이름에 함축되어 있다. 관덕정, 덕유정, 천양정, 군자정, 필야정, 그 밖에 많은 활터 이름에서 ‘덕德’자와 ‘무武(시수矢數로 해석)’자가 들어가 있다.
  그리고 국어사전에 “덕德은 도덕적 · 윤리적 이상을 실현해 나가는 인격적 능력”으로 나와 있다. ‘덕’은 보이지 않는 인간의 내면을 채우고 있고, 소통 능력을 갖추고, 너그러움, 어짊, 착함의 실현이 덕을 쌓는 일이다. 이런 내면이 외부로 예禮로 나타나는데 바로 선례후궁先禮後弓이다.
 마무리를 지어보면 선대 한량들의 활쏘기 덕목은 두 가지로, 하나는 바깥으로 드러나는 “시수를 잘 내는 것”이요, 또 하나는 내면을 가꾸어 덕을 실현하는 “선례후궁”이다. 두 가지는 함께 가야한다. 선대 한량들의 지혜다.
 
〔참고〕 활을 쏘다(김형국. 2011), 한국의 활쏘기(정진명. 2013), 조선의 궁술, 네이버 지식백과 
양희선(서울 화랑정)

국궁신문

<저작권자 국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