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활터풍경을 담아낸 1959년 꽁트 한편

기사승인 21-08-26 15:52

공유
default_news_ad1

射場의 少年(사장의 소년)

활터풍경을 담아낸 1950년 꽁트 한편
 
활터 풍경을 담은 꽁트이다. 1959년 동아일보에 소개되었으며, 제목은 <사장의 소년(射場의 少年)>으로 활터 풍경과 시동(矢童)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짧은 글 한편에 당시의 활터 풍경이 생생하게 그려진다.(武士內外)
 
■ 꽁트. 동아일보 4면. 1959.06.02
射場의 少年(사장의 소년)
成均館大學 商學科
權泰益
 
 사장(射場)은 요형(凹形)으로 둘려선 산 밑 펑퍼짐한 곳에 있었다. 울창한 노송과 오전의 햇볕을 받아 유난히 깨끗하게 가득 피어난 신록으로 한층 더 유폐된 기분이었다.
 활량들은(?) 천지가 눈 속에 파묻히는 한겨울 철 일지라도 아침 일찍부터 저녁까지 아무 때나 모여서 활을 쏘며 또는 장기를 두거나 시조를 읊거나 하며 그 느릿한 모숀 속에 열락(悅樂)을 맛보는 것이었다.
『벌써 아홉 번, 아니, 열 번째니까 백번은 넘을 거에요.』
 시동(矢童)은 여기 저기 날아와 박힌 화살을 받아 모으면서, 구경삼아 나무 등걸에 앉아있는 두명의 중년 남자에게 대답했다.
『백번이라, 그러면 몇 리나 될까?』
 색깔이 검어진 파나마의 채양을 까서 쓰고 익살께나 부릴 듯한 사람이 혼자말 처럼 말했다. 그러나 계산은 턱이 뾰죽한 편이 했다.
『백 오십 미터로 잡아도 왕복에 삼백미터. 백번이면 삼심킬로. 가만있자, 사칠은 이십팔, 칠십리 하고 오리나 돼.』
『원! 그렇게 뛰어다니고서도 안 피곤해?』
 소년은 발디딤을 짚고 올라가 과녁 꼭대기에 박힌 화살을 뽑았다. 훌쩍 뛰어내려 풀밭에 놓아둔 다발과 함께 한번 정리해 가지고 옆구리에 꼈다.
『처음에는 코피랑 나고 그랬는데, 이제 코피는 안나요.』
 의미없는 웃음을 띠우고 나서 벗은 발로 뛰기 시작했다. 검은 판쓰에는 하얀 줄이 둘, 그리고 빨로 쳐진 런닝샤쓰는 팡크가 나서 검게 탄 어깨 살이 조금 내다 보였다.
『이놈아 천천히 좀 가거라.』
 익살꾸러기가 나무랬다. 
 풀밭에 밟혀서 난 좁은 길을 따라 사정(射亭)으로 달려간 소년은 화살 다발을 갖다놓고, 펌프로 물을 길어 받아 먹었다. 그리고 머리와 얼굴에 끼얹어 물방울을 흘리면서 급히 뛰어왔다.
 제자리로 돌아온 소년은 한쪽은 빨갛고 한쪽은 흰 고전(告傳)하는 부채를 집어 들고 과녁 가까이 섰다. 이것을 가지고 그는 여러 가지 몸짓으로 화살이 떨어지는 방향을 알리는 것이었다.
『이놈아 그렇게 뛰어다니다가는 까닥하면 마라톤 선수 되겠다.』
 모두 빙그레 웃었다.
 화살은 빠르게 날았다. 먼 발치로 한복을 입고, 노인으로 보이는 사람은 세 번째 것을 맞추었다. 탁 하고 맞은 화살은 박히지 않고 수 미터나 튀어났다. 양복바지에다 와이셔츠를 입은 사람은 두 개를 똑같이 짧게 쏘았다. 세 번째 것은 높이 날아 시동에게 육박했다. 소년은 유유히 피했다.
『사람 잡겠구나!』
 하는 익살.
『위험하지 않어!』
 하는 턱이 뾰죽한 사람의 물음.
『저번 때 한 놈은 맞아서 이만큼이나 박혔어요.』
 소년은 집게 손가락을 펴 보였다.
『그렇게 위험한 짓을 뭐 하려 해? 그래 돈은 하루 얼마나 받어?』
『할머니하고 둘이 살아요. 할머니가 싹 바느질을 하시지만 눈이 점점 잘 안 보인대요. 하루 삼백환씩 받아요.』
『여러 사람이 쏠 텐데, 누가 주어?』
『거두어서 주어요. 한 사람 앞에 십환씩 이렇게요.』
 소년은 계속 고전을 하면서 뒤도 돌아보지 않고 말했다.
『여름은 언제 와요?』
『지금은 뭐고.』
 뾰죽 턱이 빈정댓다.
『아니 아주 더운 여름 말이에요.』
『얼마 안 있으면 더워질거다. 왜?』
『덥다는 핑계로 그만 둘라고요.』
『이놈이 잔꾀 내다가 굶어 죽으려고 ...』
 익살꾸러기가 다시 한마디 던졌다. 그리고 모두 웃었다. 그러나 명랑한 웃음은 못되었다.
『오늘이 양력 며칠이더라?』
 무엇을 생각하는 듯이 물었다.
『오일이여.』
『무슨 달?』
『오월』
『오월 오일이 무슨 날 일 텐데, 참! 어린이 날이군.』
 이번에는 가르쳐 주기 전에 생각해 냈다.
『어린이날에도 너는 안 놀아?』
 뾰죽 턱이 말했다.
 『학교 다니는 애들에게나 좋지, 우리 같은 놈한테는 소용없어요.』
 화살 열 개를 다 쏘았다. 소년은 전과 같이 뛰었다. 제자리로 돌아와 다시 부채를 들었다. 말을 걸어주던 사람도 이제는 산을 넘어가 버리고 소년만이 남았다.
 큰 부채로 땀 흐르는 얼굴을 부쳤다. 노오란 꾀꼬리 몇 마리가 날아다니면서 울었다. 그 아름다운 새소리도 소년의 마음을 고독하게 해줄 뿐이었다.ㆍㆍㆍ(끝)ㆍㆍㆍ
 
[동아일보(1959.06.02) 갈무리]
 
archerynews@gmail.com
 

국궁신문

<저작권자 국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